똑똑이맘의 자녀교육 블로그

유아, 초등 자녀의 교육과 관련된 글을 게재하는 블로그입니다.

  • 2025. 4. 14.

    by. 똑똑이맘

    목차

      칭찬이 독이 될 수 있다? 효과적인 칭찬법 가이드

      1. 칭찬, 정말 좋은 걸까?

      많은 부모가 아이를 잘 키우기 위해 ‘칭찬은 많이 해줄수록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모든 칭찬이 아이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무조건적인 칭찬, 결과 중심의 칭찬, 비교를 기반으로 한 칭찬은 오히려 아이의 내면 동기를 떨어뜨리고, 타인의 평가에 의존하는 성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전문가 의견: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심리학자 캐롤 드웩(Carol Dweck)의 연구에 따르면, "성과 중심의 칭찬은 아이를 고정된 사고방식(fixed mindset)에 머물게 하며, 도전을 회피하게 만들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2. 잘못된 칭찬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 칭찬 유형 >                                     < 문제점 >                                        < 장기적 영향 >
      “너는 천재야!”, “역시 똑똑하구나!” 결과 중심 칭찬 실패를 두려워하고 도전을 회피함
      “다른 아이보다 잘했네” 비교 기반 칭찬 경쟁 심화, 타인 의식 강화
      “너는 언제나 최고야” 과도한 일반화 현실감 결여, 자기 평가 왜곡
      매 행동마다 “잘했어” 반복 무의미한 반복 칭찬에 무감각해지고 내면 동기 약화

      이처럼 칭찬의 방식이 잘못되면, 아이는 외부 평가에 의존하게 되고, **자기 결정성(Self-determination)**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성장 이후의 학습 태도나 인간관계 형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효과적인 칭찬의 5가지 원칙

      1️⃣ 과정보다 노력에 주목하기

      • ❌ “100점 맞아서 대단해!”
      • ✅ “틀린 문제를 다시 확인한 게 도움이 됐구나!”

      2️⃣ 구체적으로 묘사하기

      • ❌ “잘했어~”
      • ✅ “스스로 장난감 정리한 게 정말 멋졌어. 엄마가 말하기도 전에 했네!”

      3️⃣ 아이의 감정에 초점을 맞추기

      • “그림 그릴 때 정말 즐거워 보였어!”
      • → 아이가 활동에 몰입하고 있는 모습을 긍정적으로 언급

      4️⃣ 비교하지 않기

      • 칭찬은 상대가 아니라 과거의 나 자신과의 비교로!
        예: “어제보다 글씨가 훨씬 단정해졌구나!”

      5️⃣ 내적 동기를 자극하는 표현 사용

      • “이번에 정말 네가 해내고 싶어 하던 일이었지? 해냈네!”
      • → 아이가 자기주도적으로 행동한 것을 강조

       

      4. 상황별 구체적 칭찬 예시

      ✔️ 학습 상황

      • “스스로 문제를 끝까지 풀어낸 게 대단해!”
      • “실수했는데 다시 도전한 용기가 멋졌어.”

      ✔️ 친구와의 관계

      • “친구 먼저 생각해준 너의 마음이 참 따뜻하구나.”
      • “네가 먼저 사과해서 기분이 좋아졌을 거야.”

      ✔️ 일상생활

      • “장난감을 네가 먼저 정리한 거, 스스로 책임진 행동이었어.”
      • “식사 준비 도와줘서 엄마가 정말 힘이 됐어.”

      ✔️ 실패하거나 잘하지 못한 경우

      • “이번엔 원하는 결과는 아니었지만 끝까지 해낸 게 자랑스러워.”
      • “다음엔 더 잘할 수 있을 거야. 오늘 시도한 것도 멋졌어.”

       

      5. 부모가 자주 하는 칭찬 실수 유형

      ❌ 1. 보상 조건형 칭찬

      “이거 잘하면 초콜릿 줄게!”
      → 칭찬이 외적 보상이 되면, 보상이 없을 때 동기가 떨어짐

      ❌ 2. 과장된 표현

      “진짜 너는 천재야! 세상에 이런 그림은 처음 봐!”
      → 현실과 괴리된 표현은 신뢰감을 떨어뜨릴 수 있음

      ❌ 3. 무조건적 긍정

      “그냥 네가 한 건 다 좋아.”
      → 구체성이 없고, 아이 스스로도 느끼지 못하는 경우 동기 약화

       

      6. 칭찬보다 중요한 것은 ‘인정’

      칭찬은 아이의 자존감 형성과 사회성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무분별하거나 의도 없이 반복되는 칭찬은 오히려 아이의 자율성과 사고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칭찬은 단지 “기분 좋게 하는 말”이 아니라,
      아이의 행동을 정확히 보고, 그 의미를 인식하고, 그 가치를 인정하는 과정입니다.

      ✅ “잘했어!”보다는
      👉 “어떻게 해냈는지, 네가 어떻게 생각했는지”에 집중해 주세요.
      그것이 진짜 아이를 자라게 하는 ‘건강한 칭찬’입니다.